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I와 K-팝이 만났을 때: 지드래곤이 말하는 ‘AI엔터테크’의 미래

카테고리 없음

by 늦둥이아빠 2025. 4. 10. 09:14

본문

K-팝이 전 세계를 사로잡은 지 오래입니다. 이제는 단순한 음악을 넘어,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은 K-팝 산업에 신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지드래곤이 카이스트(KAIST) 강단에 올라 ‘AI 엔터테크’에 대한 비전을 직접 제시하며 더욱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과연 AI와 K-팝이 만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AI와 K-팝이 만났을 때: 지드래곤이 말하는 ‘AI엔터테크’의 미래
AI와 K-팝이 만났을 때: 지드래곤이 말하는 ‘AI엔터테크’의 미래

1. K-팝과 AI의 운명적 만남, 그 시작은 어디서?

K-팝은 이미 글로벌 팬덤을 바탕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지닌 문화 콘텐츠입니다. 이 흐름에 AI 기술이 더해지면서, ‘AI엔터테크’라는 새로운 융합 영역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AI는 작곡, 안무 창작, 음성 합성, 팬과의 인터랙션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콘텐츠 생산 속도와 다양성 모두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AI 기술은 이제 단순히 효율을 높이는 도구를 넘어, 창조적인 협업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2. 지드래곤, 카이스트에 서다 – 예술과 과학의 경계를 넘어서

2025년 4월 9일, 지드래곤(권지용)은 카이스트에서 열린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의 스페셜 토크쇼 무대에 섰습니다. ‘AI 엔터테크의 미래’를 주제로 한 이 행사에서 지드래곤은 음악과 예술, 그리고 기술이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를 이야기했습니다.

그 자리는 단순한 강연이 아닌, 예술가와 과학자가 함께 미래를 상상하는 상징적인 순간이었습니다.

행사명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
일시 2025년 04월 09일
장소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본원
주요 프로그램 오프닝 세션: 가수 하현우 공연, 에코테크 세션<
- 1부: 개회식,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강연, 이정재 배우 토크쇼, 가수 청하 공연, 웨어러블 로봇 시연 및 AI 세션, 가수 비비·선미 공연
- 2부: 스페셜 토크쇼
스페셜 토크쇼 주제 AI 엔터테크의 미래
참석자 지드래곤(KAIST 초빙교수 겸 가수)
이승섭 KAIST 교수
최용호 갤럭시코퍼레이션 대표
행사 특징 AI, 테크, 과학, 엔터테인먼트를 아우르는 포럼 형식의 행사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미래 산업에 대한 비전을 제시합니다.

3. 초빙교수 지드래곤? K-팝과 과학기술의 이례적 콜라보

지드래곤은 지난해 6월, 카이스트 기계공학과의 초빙교수로 임명된 바 있습니다. 예술가가 과학기술 연구기관과 협업한다는 이례적인 사례는 큰 화제를 모았고, 그 상징성 또한 큽니다.

그의 소속사 갤럭시코퍼레이션은 카이스트와 함께 **K-팝의 글로벌 확산과 AI 기반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기술과 엔터 산업의 접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4. AI가 바꾸는 아이돌 산업 – AI가 만든 가수는 현실이 된다

이미 AI는 아이돌 산업 곳곳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작곡 알고리즘은 새로운 음악 스타일을 제안하고, AI 안무 생성 기술은 아티스트의 개성을 반영한 퍼포먼스를 설계합니다.

또한 AI 음성 합성을 통해 가상의 아이돌이 실제처럼 노래를 부르고, 팬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역시 AI 챗봇을 통해 이뤄지고 있죠. 실제로 가상 아이돌 그룹이나 AI 기반 영상 콘텐츠는 점점 더 현실화되고 있으며, 기존 엔터테인먼트 구조를 빠르게 재편하고 있습니다.

분야 사례명 설명
AI 작곡 주크덱 AI가 1970년대 이전 음악을 학습하여 새로운 곡을 작곡하는 시스템으로, AI가 작곡한 곡에 안무를 추가하는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가상 아이돌 에스파 SM엔터테인먼트의 그룹으로, 실제 멤버와 각 멤버의 버추얼 휴먼이 함께 활동하며, 뮤직비디오와 무대에서 가상 캐릭터와의 협업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가상 아이돌 신디에잇 하이브의 자회사 슈퍼톤이 공개한 4인조 버추얼 걸그룹으로, AI 오디오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AI 안무 곡가무일체 지능정보기술연구원이 개발한 K-팝 안무 창작 AI로, 음악을 입력하면 1분 이내에 역동적인 안무를 생성하며, 컴퓨터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통해 안무를 시연합니다.
AI 안무 웨인 맥그리거의
'아토모스'
영국 안무가 웨인 맥그리거가 AI를 활용하여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새로운 안무를 개발한 공연으로, 웨어러블 기술을 통해 무용수들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여 AI가 안무를 창작합니다.
AI 안무 BBOY X AI 비보이의 퍼포먼스를 AI가 학습하여 새로운 비보잉 안무를 창작하는 프로젝트로, 키넥트 센서를 활용하여 비보이 동작을 데이터화하고, 이를 AI가 학습하여 창의적인 안무를 생성합니다.

5. K-컬처의 미래는 어디로? 지드래곤이 말하는 글로벌 전략

지드래곤은 이번 강연에서 단순히 AI의 기술적인 가능성만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기술을 통해 콘텐츠를 더 글로벌하고 지속 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예를 들어,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팬들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왔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K-컬처의 세계화 전략에 매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주제 내용 요약 특징/사례
AI 기반 콘텐츠 제작 인공지능을 활용한 음악, 안무, 캐릭터 제작 등 콘텐츠 생산 과정의 자동화 및 고도화 AI 작곡(주크덱), AI 안무(곡가무일체), 가상 아이돌(신디에잇, 에스파) 등
버추얼 휴먼과 메타버스 활용 가상 세계에서의 아티스트 활동 확장 및 팬과의 실시간 인터랙션 강화 SM의 메타버스 세계관 ‘광야(KWANGYA)’, 하이브의 가상 걸그룹, 버추얼 팬미팅 플랫폼 활용 등
글로벌 협업 플랫폼 확대 기술 기반 콘텐츠를 전 세계로 빠르게 유통하기 위한 OTT·SNS·스트리밍 플랫폼과의 협업 강화 유튜브, 틱톡, 넷플릭스 등과의 K-콘텐츠 연계 / 콘텐츠 현지화 전략
테크 아티스트의 부상 아티스트들이 기술을 이해하고 창작 도구로 활용하는 역량 중요시 지드래곤의 KAIST 초빙교수 활동, AI 엔터테크 토크쇼 참여 등 예술과 과학의 융합
지속 가능한 K-컬처 생태계 구축 팬 참여형 콘텐츠, NFT·블록체인 등으로 IP 확장 및 수익 다변화 팬이 함께 만드는 뮤직비디오, 아티스트 굿즈의 NFT화, 디지털 소장형 콘텐츠 판매 등
교육 및 R&D 투자 확대 엔터테크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 협력 및 기술 연구 KAIST와 갤럭시코퍼레이션의 MOU 체결, AI 엔터테인먼트 연구소 설립 가능성 등

6. 마무리 – 기술과 문화가 함께 자랄 때 벌어지는 변화

이번 'AI엔터테크' 강연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닌, 문화와 기술이 만날 때 어떤 가능성이 펼쳐지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습니다. 예술가와 과학자가 함께 고민하고 협업한다면, 지금까지 보지 못한 새로운 콘텐츠, 새로운 산업이 태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K-팝은 더 이상 음악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제는 AI와 함께 진화하며, 전 세계에 감동과 혁신을 전하는 문화 기술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에 지드래곤과 같은 아티스트가 있다는 사실이, 참 인상 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