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가 인프라 보안, 지금 무너지면 도시도 멈춘다

카테고리 없음

by 늦둥이아빠 2025. 7. 2. 09:00

본문

2021년, 미국의 대형 송유관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가동이 중단되었고, 미국 동부 전역이 유류 대란에 빠졌습니다. 같은 해 상수도 시설도 해킹당해 수산화나트륨이 과다 주입되는 사고가 발생할 뻔했습니다. 2023년에는 일본 항공사의 발권 시스템이 마비되어 크리스마스 연휴 항공편 발매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사건들은 이제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철도, 교통신호, 상수도, 지역난방 시스템 역시 해커들의 새로운 목표가 되고 있으며, 실제로 기반시설을 겨냥한 해킹 시도는 전년 대비 60%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제 사이버 공격은 단순한 ‘정보 유출’ 문제가 아니라, 도시 전체를 정지시키고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실질적 위기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국가 인프라 보안, 지금 무너지면 도시도 멈춘다
국가 인프라 보안, 지금 무너지면 도시도 멈춘다

1️⃣ 해외 주요 인프라 해킹 사례

오늘날 사이버 공격은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도시 기능을 정지시키는 물리적 위협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그 위험성이 현실로 나타났습니다.

📌 대표적 사례 정리

사건 국가 해킹 대상 주요 피해 발생 시기
콜로니얼 송유관 해킹 미국 석유 수송 시스템 동부 유류 공급 45% 차단, 비상사태 선포 2021년 5월
올드스마 상수도 해킹 미국 상수처리 제어 시스템 수산화나트륨 주입량 100배 증가 시도 2021년 2월
JAL 항공 시스템 해킹 일본 수하물·발권 시스템 항공권 발매 중단, 크리스마스 연휴 혼란 2023년 12월

 

특히, 미국 올드스마의 상수도 공격은 수산화나트륨 주입량을 정상보다 100배 넘게 증가시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위험한 공격이었습니다. 다행히 직원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차단했지만, 이는 '기적에 가까운 우연'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 한국의 현재 상황 – 보안 가이드라인과 위협

국내에서도 교통·상수도·지역난방 등 제어 시스템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국가정보원은 2025년 상반기, 철도·교통신호·스마트도시 인프라를 대상으로 보안 강화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배포했습니다.
  • 국제 해킹 조직의 국내 공격 시도는 전년 대비 약 60% 증가했습니다.
  • 국내 해킹 피해 유형 중 30% 이상이 기반시설 관련 시스템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가 기반시설 보안 위협 추이 (2021~2024)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예측)
기반시설 대상 해킹 건수 증가율 12% 27% 60% 70% 이상 가능성
보안 사고 중 인프라 관련 비율 18% 24% 31% -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 예산은 오히려 삭감되는 중입니다.

  • 사이버침해대응본부 예산: 2023년 635억 → 2024년 579억 원 (-8.8%)
  • 핵심기술 R&D 예산: 2023년 대비 7.7% 삭감

3️⃣ 왜 지금이 중요한가?

국가 인프라가 공격을 받으면 일상생활 자체가 중단됩니다.

  • 철도가 마비되면 도시 간 물류와 출퇴근 시스템이 정지됩니다.
  • 상수도가 중단되면 기초 위생과 음용수 공급이 멈춰 시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 지역난방 시스템이 멈출 경우 겨울철 대규모 정전·동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즉, **“사이버 공격 = 생활 기반 붕괴”**라는 등식이 현실화되는 것입니다.

또한, AI 기반 자동화 공격은 탐지하기도 매우 어렵습니다.

  • 해커는 AI로 다변화된 공격 패턴을 생성
  • 방어자는 예산과 인력의 제약으로 대응 지연
    이러한 비대칭 구조는 사고의 빈도뿐 아니라 피해 규모까지도 기하급수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4️⃣ 인프라 보안 강화를 위한 정책·기술적 제언

✅ 정책적 제안

  1.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 통합: 현재 국정원(공공), KISA(민간) 이원화 → 미국 CISA처럼 단일 대응기구 필요
  2. 정보보호 예산 확대 및 중장기 계획 수립
  3. 전국 기반시설 대상 사이버 모의훈련 제도화

✅ 기술적 제안

  1. AI 기반 보안 관제시스템 도입: 이상 징후 탐지 자동화
  2. 산업제어시스템(ICS)와 IT 네트워크의 물리적 분리 강화
  3. 보안 인증체계 고도화 (예: IEC 62443 도입 확대)
  4.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실전형 교육 체계 마련

✍️ 염흥열 순천향대 명예교수: “기관들은 단순히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에 그치지 말고, 실시간 탐지 및 대응 체계를 내부화해야 한다.”

✅ 마무리하며

사이버 보안은 더 이상 IT 부서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국가 인프라를 지키는 일은 곧 도시의 일상, 시민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한 번의 침입이 도시 전체를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국가, 기업, 시민 모두가 지금 이 시점에서 적극적인 경각심과 실질적 대응을 준비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