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여름철 휴가 시즌을 노리는 다양한 사이버 공격 형태 30 가지

카테고리 없음

by 늦둥이아빠 2024. 7. 14. 01:16

본문

여름철 휴가 시즌이 다가오면서 국내외 여행지를 찾는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를 노린 사이버 공격 또한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행 정보를 준다는 명목으로 개인정보를 탈취하려는 악성 도메인과 피싱 메일이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여름철 휴가 시즌에 많이 발생하는 다양한 사이버 공격형태 30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특히 피싱메일, 악성도메인, 가짜 예약확인, 가짜 여행 프로모션, 소설미디어 스캠, 무료와이파이 함정, 악성 광고, 모바일피싱, 랜섬웨어, 호텔 와이파이 네트워크 공격 등은 주의 하셔야 합니다.

여름철 휴가 시즌을 노리는 다양한 사이버 공격 형태 30 가지

여름휴가철 사이버 공격

체크포인트리서치(CPR)에 따르면, 최근 사이버상에서 발생하는 사기 행위가 여름휴가를 준비하는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5월 기준으로 조사를 진행한 결과, 휴가와 관련해 생성된 신규 도메인 2만5668개 중 대부분이 악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여름철 휴가 시즌 공격 형태 30 가지  

다음은 여름철 휴가 시즌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버 공격 형태 30가지와 예방방법입니다. (빨간색 주로 많이 발생)

번호 공격 방식 설명 예방 방법
1 악성 도메인 유명한 여행 사이트를 사칭하여 사용자에게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 공식 사이트의 URL을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사이트에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음.
2 피싱 메일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가장한 이메일을 통해 악성 링크나 파일을 전송. 이메일의 출처를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링크나 첨부 파일을 클릭하지 않음.
3 가짜 예약 확인 가짜 예약 확인 메일을 보내고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탈취. 예약 확인 이메일의 출처를 확인하고, 링크를 클릭하기 전에 공식 사이트에서 예약 상태를 확인.
4 가짜 여행
프로모션
허위 여행 프로모션을 광고하여 클릭을 유도하고 악성 사이트로 이동시켜 정보 탈취. 의심스러운 프로모션 링크를 클릭하지 않고, 공식 여행사 웹사이트를 통해 프로모션을 확인.
5 소셜 미디어 스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여행 관련 이벤트나 할인 광고를 게시하여 클릭을 유도. 소셜 미디어에서 출처가 불분명한 이벤트나 광고를 신뢰하지 않고,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확인.
6 모바일 앱
악성코드
여행 관련 악성 모바일 앱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거나 악성코드를 설치.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만 앱을 다운로드하고, 앱 권한을 주의 깊게 확인.
7 무료 와이파이 함정 공항이나 호텔에서 제공하는 무료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정보 탈취. VPN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암호화하고, 공용 와이파이 사용 시 중요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음.
8 악성 광고 여행 관련 웹사이트나 앱에 악성 광고를 게재하여 클릭 시 악성 사이트로 이동. 광고 클릭을 피하고, 공식 웹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여 정보를 확인.
9 허위 고객 지원 가짜 고객 지원 센터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금전적 피해를 유도. 고객 지원 요청 시 공식 사이트나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의심스러운 요청에는 응답하지 않음.
10 카드 정보 탈취 가짜 결제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탈취. 결제 페이지의 URL을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페이지에 카드 정보를 입력하지 않음.
11 가짜 여행 리뷰 사이트 신뢰할 수 있는 여행 리뷰 사이트를 가장하여 사용자 정보를 탈취. 리뷰 사이트의 공식 URL을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사이트에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음.
12 소셜 엔지니어링 여행 관련 설문조사나 퀴즈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집. 출처가 불분명한 설문조사나 퀴즈에 참여하지 않음.
13 모바일 피싱 (스미싱) 문자 메시지를 통해 악성 링크를 전송하여 정보를 탈취.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메시지의 링크를 클릭하지 않음.
14 호텔 와이파이 네트워크 공격 호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해킹하여 사용자 정보를 탈취. VPN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암호화하고, 공용 와이파이 사용시 중요한 정보 입력하지 않음.
15 랜섬웨어 공격 여행 관련 문서를 가장하여 랜섬웨어를 배포. 신뢰할 수 없는 출처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백업을 수행.
16 여행 블로그 및 포럼 스팸 악성 링크를 포함한 댓글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탈취. 블로그나 포럼의 공식 URL을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링크를 클릭하지 않음.
17 예약 확인 전화 사기 가짜 예약 확인 전화를 통해 사용자 정보 수집. 예약 확인 전화를 받을 때 신중하게 대응하고, 공식 예약 사이트나 고객 서비스에 직접 연락 확인.
18 여행 관련 앱 취약점 공격 여행 관련 앱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배포하거나 사용자 정보를 탈취. 앱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만 앱을 다운로드.
19 가짜 여권 및 비자 서비스 가짜 여권 및 비자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정보를 탈취. 공식 정부 웹사이트를 통해 여권 및 비자 서비스를 신청하고, 의심스러운 서비스는 피함.
20 ATM 스키밍 여행지의 ATM에 스키머 장치를 설치하여 카드 정보를 탈취. 신뢰할 수 있는 장소에서만 ATM을 사용하고, 의심스러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21 공항 키오스크 공격 공항 키오스크를 통해 악성코드를 배포하거나 사용자 정보를 탈취. 공용 키오스크 사용 시 민감한 정보 입력을 피하고, 공식 앱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체크인.
22 가짜 여행 보험 제공 가짜 여행 보험을 제공하여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거나 금전을 요구. 여행 보험은 신뢰할 수 있는 공식 보험사를 통해 가입하고, 의심스러운 보험 제공자는 피함.
23 여행 관련 툴바 및 확장 프로그램 악성 툴바나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정보 탈취.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만 툴바나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검사 및 제거.
24 가짜 여행 가이드 및 지도 앱 악성 여행 가이드나 지도 앱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거나 악성코드를 설치. 앱 설치 전 리뷰를 확인하고, 공식 앱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
25 공항 및 호텔의  USB 충전 공격 공항 및 호텔의 공용 USB 충전 포트를 통해 악성코드를 배포. 공용 USB 충전 포트 사용을 피하고, 자신의 충전기를 사용하거나 데이터 차단 케이블 사용.
26 여행 블로그 링크 조작 인기 여행 블로그의 링크를 조작하여 악성 사이트로 유도. 블로그의 링크를 클릭하기 전에 URL을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링크는 클릭하지 않음.
27 여행사 사칭 전화 사기 여행사를 사칭하여 전화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거나 금전을 요구. 여행사와의 모든 커뮤니케이션은 공식 웹사이트나 전화번호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
28 이벤트 티켓 사기 인기 이벤트나 관광지 티켓을 사칭하여 가짜 티켓을 판매. 티켓 구매는 공식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의심스러운 사이트, 개인으로부터 구매하지 않음.
29 외국 통화 사기 가짜 외국 통화 환전 서비스를 통해 금전적 피해를 입힘. 외국 통화 환전은 공식 환전소나 은행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의심스러운 환전 서비스는 피함.
30 공공장소에서의 물리적 해킹 공공장소에서 물리적으로 디바이스에 접근하여 악성코드를 설치하거나 정보를 탈취. 공공장소에서 디바이스를 항상 주시하고, 잠금 기능을 활성화하여 물리적 접근을 방지.

 

여름철 휴가 시즌을 노리는 다양한 사이버 공격 형태와 그 예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행객들은 이러한 공격 방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하여 안전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