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저작권 문제 없는 AI 콘텐츠의 기준과 사례

카테고리 없음

by 늦둥이아빠 2024. 10. 16. 10:24

본문

어도비 파이어플라이: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다양한 콘텐츠 생성형 AI 툴로 저작권 문제가 없는 콘텐츠 생성 특화
어도비, 2019년부터 콘텐츠 진위 이니셔티브(CAI) 추진, CAI는 디지털 콘텐츠의 출처와 진위를 확인 마련
CAI는 글로벌 연합으로 현재 3700여 개의 회원사가 이 이니셔티브에 참여 중

저작권 문제 없는 AI 콘텐츠의 기준과 사례
저작권 문제 없는 AI 콘텐츠의 기준과 사례

 

최근 어도비가 공개한 생성형 AI 제품군 ‘파이어플라이(Firefly)’는 저작권 문제 없는 상업적 안전성을 강조하며, AI 콘텐츠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비의 이같은 접근은 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중요한 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작권 문제 없는 AI 콘텐츠의 기준과 관련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저작권 문제 없는 AI 콘텐츠의 기준

AI 콘텐츠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저작권입니다. AI가 기존의 창작물을 학습해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어도비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 퍼블릭 도메인 콘텐츠 활용: 어도비의 AI는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콘텐츠나 자체 보유한 고유 자산을 학습하여 저작권 침해 가능성을 줄였습니다.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콘텐츠는 저작권이 만료된 창작물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 상업적으로 안전한 AI 모델: 어도비는 자사의 AI 모델이 상업적으로 안전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AI가 생성한 콘텐츠가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될 때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의미로, 창작자들이 안심하고 상업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콘텐츠 자격증명(Content Credentials): 어도비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콘텐츠에 ‘콘텐츠 자격증명’을 부여해, 창작자가 자신이 만든 콘텐츠의 출처를 명확하게 표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창작물의 진위를 증명하고, 저작권 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어도비 파이어플라이와 저작권 안전성

어도비의 파이어플라이는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AI 툴입니다. 이 모델은 저작권 문제가 없는 콘텐츠 생성에 특화되어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기능에서 저작권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 프리미어 프로의 생성형 확장 기능: 프리미어 프로는 영상 편집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영상의 빈틈을 자연스럽게 채우거나, 부족한 장면을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어도비는 이 과정에서 저작권 침해 가능성이 없는 자산만을 활용해 상업적으로 안전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포토샵의 생성형 AI: 포토샵의 생성형 AI 기능은 이미지에서 불필요한 요소를 쉽게 제거하고, 배경이나 다른 요소를 자연스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도 퍼블릭 도메인 자산을 학습한 AI가 사용되어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사례: CAI와 콘텐츠 투명성

어도비는 저작권 문제 해결을 위해 2019년부터 **콘텐츠 진위 이니셔티브(CAI)**를 추진해왔습니다. CAI는 디지털 콘텐츠의 출처와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 표준을 마련하고, 콘텐츠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글로벌 연합입니다. 현재 3700여 개의 회원사가 이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으며, 어도비는 이를 통해 AI 콘텐츠의 투명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구글은 CAI와 연계된 C2PA 메타데이터를 검색결과에 도입해, 콘텐츠가 AI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짜 이미지나 허위 정보를 걸러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저작권 문제 없는 AI 콘텐츠 제공 서비스 기업

기업명 제공 서비스 저작권 문제 해결 방식 특징
어도비
(Adobe)
파이어플라이(Firefly), 프리미어 프로, 포토샵 퍼블릭 도메인 및 고유 자산 활용, 콘텐츠 자격증명 시스템 도입 상업적으로 안전한 AI 모델을 제공하며, 퍼블릭 도메인 자산을 학습한 생성형 AI 기능 포함
오픈AI
(OpenAI)
GPT 모델(텍스트 생성), DALL·E(이미지 생성) 사용자들에게 상업적 이용 가능성 명시, 제3자 콘텐츠 활용 자제 다양한 AI 모델을 통해 텍스트 및 이미지 생성 지원, 저작권 문제가 최소화된 텍스트 생성.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Copilot(텍스트 생성, 코드 생성), Azure AI 퍼블릭 도메인과 계약된 데이터로 AI 모델 학습, 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API 제공 기업용 AI 서비스로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다양한 AI 도구 제공
캔바(Canva) 텍스트 및 이미지 편집 AI 도구, 디자인 템플릿 제공 자체 보유한 이미지 및 퍼블릭 도메인 활용, 상업적 라이선스 옵션 제공 간편한 디자인 AI 도구로서, 상업적 목적으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제공.
픽사베이
(Pixabay)
무료 이미지, 영상 및 음악 제공 저작권이 없는 퍼블릭 도메인 콘텐츠 제공 모든 콘텐츠가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며, 저작권 문제 없이 상업적 목적으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
셔터스톡
(Shutterstock)
AI 이미지 생성기 및 상업용 이미지 라이브러리 제공 상업적 용도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 제공, AI 생성 콘텐츠 포함 상업용 콘텐츠 라이브러리로서 안전한 라이선스가 적용된 AI 생성 이미지 제공.
게티이미지
(Getty Images)
AI 이미지 생성기 및 방대한 이미지 라이브러리 제공 계약된 콘텐츠를 통해 AI 학습, 라이선스 계약을 통한 상업적 사용 보장 고품질 콘텐츠 제공, AI 생성 이미지도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상업적으로 안전하게 사용 가능

결론

저작권 문제 없는 AI 콘텐츠의 기준은 퍼블릭 도메인 자산을 활용하고, 상업적으로 안전한 AI 모델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어도비의 파이어플라이는 이러한 기준을 준수하여 콘텐츠 제작자들이 안심하고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향후 디지털 콘텐츠의 투명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술과 규제 도입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AI 콘텐츠의 부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