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국지성 폭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지성 폭우는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폭우로,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국지성 호우’는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폭우를 뜻합니다. 마치 폭우의 진영이 특정 지역을 집중 공격하는 듯한 국지성 호우는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비를 쏟아내며 도시 침수, 산사태, 피해 농작물 증가 등 심각한 피해를 야기합니다. 작년 장마의 전국 평균 강수량은 역대 세 번째로 많은 648.7mm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973년 이후로 전국 관측망이 확충된 이래 세 번째로 많은 강수량입니다.
원인 | 설명 | 실제 사례 | 발생 빈도 |
대기 불안정성 | 대기 상층과 하층 간의 온도 차이로 인해 대기가 불안정해져 강한 상승 기류가 발생하여 폭우를 일으킴 | 2020년 8월,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폭우로 인한 홍수 | 높음 |
지형 효과 | 산악 지형에서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고, 이로 인해 강한 강수가 발생하여 특정 지역에 폭우를 집중시킴 | 2011년 7월, 강원도 춘천 소양강댐 일대에서의 집중호우 | 중간 |
열대 기류 | 고온다습한 열대 기류가 북상하여 한반도에 유입되면서 국지성 폭우를 유발함 | 2018년 7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서울, 경기 지역에 국지성 폭우 발생 | 높음 |
기압골 형성 | 저기압이나 기압골이 형성되면서 대기가 불안정해지고 강한 비구름대가 형성되어 폭우를 유발함 | 2017년 7월, 중부지방에 형성된 기압골로 인해 충청북도 청주에 기록적 폭우 | 높음 |
태풍 및 열대 저기압 |
태풍이나 열대 저기압이 접근하면서 많은 양의 수증기가 유입되어 폭우를 일으킴 | 2020년 9월, 태풍 '하이선'의 영향으로 부산과 경상남도에 국지성 폭우 발생 | 중간 |
도시 열섬 현상 | 도시의 열이 대기 중에 축적되어 상승 기류를 강화하고, 이로 인해 집중적인 강수가 발생함 | 2019년 8월, 서울 도심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
중간 |
작년 7월, 경기남부, 충청권, 강원남부내륙·산지, 전북, 전남서부, 경북내륙, 경남북서내륙에 호우 특보가 발효됐습니다. 집중호우로 인해 사망자 47명과 실종자 3명이 발생하는 안타까운 인명피해가 있었습니다. 또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의하면 당시 전국의 주택·도로 등 시설 피해는 무려 1만 2천 건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주택 2,085채가 침수되고 213채가 파손됐다고 합니다. 이렇게 우리의 생활에 큰 위협을 주는 치명적인 호우에 대해 어떻게 대비할 수 있을까요?
위험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해, 우리는 호우 특보 발령 시 안전 수칙을 미리 숙지하고 실천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사전준비, 호우 특보 예보 시, 호우 특보 중, 호우 이후 총 4단계로 안내하고 있는 진행별 행동 요령을 함께 보실까요?
사전준비 단계에선 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준비합니다. 거주 지역이 이전에 피해 이력이 있는지, 재해위험 요인이 있는지 등을 파악하고 가족 및 이웃과 대피 계획을 세웁니다. 이때 대피 장소나 안전한 이동 방법, 대피 요령은 미리 숙지 후 아이들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합니다.
재난 발생 대비를 위해 최소 3일간 버틸 수 있는 식량, 식수와 비상시를 대비해 응급약품, 손전등, 휴대용 버너, 담요 등을 비상용품으로 미리 준비해 두고, 차량이 있는 경우엔 연료를 미리 채워둡니다.
호우 지역과 시간을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고 산간, 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여 주변 사람들과 함께 대비합니다. 침수 및 붕괴 우려가 있는 지하공간이나 노후주택 또한 대피해야 하는 위험지역입니다.
차량이나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집 주변 배수구 점검을 하고, 하천 및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비상용품은 대피 시 신속하게 들고 갈 수 있도록 사전에 배낭 등에 모아두는 것이 좋으며,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의 안부를 수시로 확인합니다.
나와 가족, 지인들의 안전을 위해서는 외출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경로와 시간을 고려하여 이동해야 합니다. 동시에, 기상 정보를 지속적으로 청취하여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는 즉시 공유합니다. 침수된 도로, 지하차도, 교량 등은 사람과 차량의 통행을 엄격히 금지하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진입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 점. 꼭 잊지 마세요!
더불어 실내에서는 가스 누출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차단하고, 감전 위험이 있는 집 안팎의 전기시설은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건물 안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를 경우 즉시 높은 곳 혹은 주변 대피장소로 이동해야 합니다. 이때에는 주변 사람들과 함께 행동하여 서로를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합니다. 대피 시에는 소통과 협력이 매우 중요하죠.
가족과 지인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겠죠? 가족과 지인에게 연락하여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연락이 되지 않고 실종이 의심될 경우에는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또한 대피 후 집으로 돌아왔다면, 안전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 후 출입해야 합니다. 호우로 피해를 입은 주택은 가스 누출 우려가 있으므로 충분한 환기는 필수이며, 환기 전 라이터나 성냥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파손된 사유시설은 사진을 찍어두고, 인근 파손 시설물은 가까운 시·군·구청이나 주민센터에 신고해야 하죠.
앱 이름 | 주요 기능 | 특징 | 다운로드 링크 |
기상청 날씨 알리미 | 실시간 기상 정보, 강수 예보, 기상 특보, 레이더 영상 제공 | 기상청 제공 공식 앱, 정확한 기상 정보 | 앱 다운로드 |
안전디딤돌 | 재난 정보, 기상 특보, 대피소 위치 정보, 응급처치법 제공 | 행정안전부 제공 재난 안전 앱, 다양한 재난 대비 가능 | 앱 다운로드 |
웨더뉴스 (WeatherNews) |
실시간 날씨 정보, 강수 예보, 기상 특보, 사용자 보고 기능 제공 | 사용자 보고를 통한 실제 날씨 공유 | 앱 다운로드 |
네이버 날씨 | 실시간 날씨 정보, 강수 예보, 기상 특보, 생활 날씨 지수 제공 | 네이버 서비스 연동, 편리한 사용 | 앱 다운로드 |
카카오 날씨 | 실시간 날씨 정보, 강수 예보, 기상 특보, 위성 및 레이더 영상 제공 | 카카오톡 연동, 다양한 기상 정보 제공 | 앱 다운로드 |
YTN 날씨 | 실시간 날씨 정보, 기상 특보, 뉴스 및 영상 제공 | YTN 뉴스 연동, 최신 기상 뉴스 제공 | 앱 다운로드 |
오늘은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국지성 호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떠셨나요? 저는 미리 대비해 행동 요령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행동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기상청을 통해 늘 기상정보를 미리 확인하시고, 안전하게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여름에는 호우 피해가 없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더 자세한 호우특보 시 4단계 진행별 행동요령이 궁금하다면 국민재난안전포털을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