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4년 숏폼 콘텐츠,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의 경쟁

카테고리 없음

by 늦둥이아빠 2024. 11. 19. 13:03

본문

숏폼 콘텐츠의 인기는 2024년에도 여전히 높습니다. 10명 중 8명이 올해 숏폼 콘텐츠를 시청한 것으로 조사됐고, 이는 플랫폼 이용의 전반적인 변화와 새로운 미디어 트렌드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는 이러한 숏폼 콘텐츠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24년 숏폼 콘텐츠,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의 경쟁
2024년 숏폼 콘텐츠,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의 경쟁

숏폼 콘텐츠의 폭발적 성장

숏폼 콘텐츠의 성장세는 매우 인상적입니다. 오픈서베이의 '소셜미디어·숏폼 트렌드 리포트 2024'에 따르면, 숏폼 시청 경험률은 올해 82.7%로 작년의 68.9% 대비 13.8%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짧고 간결하면서도 쉽게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의 특성이 있습니다. 짧은 시간 안에 시청자들에게 재미와 정보를 제공하는 숏폼은 현대의 빠른 라이프스타일에 완벽히 부합합니다.

2024 SNS 트렌드 분석

숏폼 콘텐츠는 다양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유튜브 쇼츠는 숏폼 콘텐츠 시청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으로, 이용률이 무려 87.4%에 달합니다. 그 뒤를 인스타그램 릴스(58.3%)와 틱톡(31.6%)이 따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이 숏폼 콘텐츠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유튜브는 기존의 긴 영상에서 숏폼으로도 사용자 기반을 넓혔고, 인스타그램은 이미지 기반 플랫폼에서 짧은 영상을 강화하며 사용자 참여를 확대했습니다. 이 두 플랫폼은 숏폼의 주요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그 이용 패턴은 다소 다릅니다.

비교 항목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출시 연도 2020년 (국내 2021년) 2020년 2016년
주요 이용자 기반 유튜브의 기존 사용자 및
신규 숏폼 소비자
인스타그램 사용자 및
시각 중심 콘텐츠 소비자
젊은 세대 중심,
글로벌 다양한 사용자
이용률(2024년) 87.4% (숏폼 이용자 중) 58.3% (숏폼 이용자 중) 31.6% (숏폼 이용자 중)
주요 콘텐츠 스타일 다양한 주제
(유머, 교육, 맛집 등)
트렌디하고 시각적인 주제
(패션, 일상, 음식 등)
다양한 창의적 콘텐츠
(댄스, 챌린지, 밈 등)
알고리즘 특징 유튜브의 강력한
개인화 알고리즘
인스타그램의 탐색 탭과
릴스 중심의 알고리즘
사용자 행동에 즉각 반응하는
고도의 개인화 알고리즘
평균 1회 이용 시간 약 60분 (2024년 기준) 약 24분 (2024년 기준) 약 52분 (2024년 기준,
높은 참여도 유지)
콘텐츠 제작 기능 다양한 편집 도구와
음악 라이브러리 제공
효과, 스티커, 음악 라이브러리 등
창의적 기능
강력한 편집 기능, 다채로운
이펙트와 음악 사용 가능
주요 경쟁 플랫폼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광고 및 수익화
모델
유튜브 전체의
광고 수익 모델과 연계
인스타그램 광고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자체 수익화 프로그램
(크리에이터 펀드 등)
글로벌 인기 높은 글로벌 인기 인스타그램 주 사용국가에서 인기 전 세계적인 인지도와 인기도

숏폼 열풍의 주역은?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는 서로 다른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유튜브 쇼츠유튜브의 방대한 사용자 기반과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며, 긴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들을 숏폼 콘텐츠로 유도합니다. 반면, 인스타그램 릴스인스타그램의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스타일에 맞춰 짧은 영상을 제공하며, 이미지 기반의 피드와 자연스럽게 결합됩니다.

이용 시간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리포트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의 1회 접속 시 평균 이용 시간은 작년 22분에서 24분으로 소폭 증가한 반면, 유튜브의 평균 이용 시간은 60분으로 작년보다 3분 감소했습니다. 이는 숏폼 콘텐츠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많은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영향으로 보입니다.

짧고 강렬하다: 숏폼 콘텐츠가 주도하는 미디어 트렌드

숏폼 콘텐츠는 단순히 짧은 영상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는 콘텐츠 소비의 변화를 이끌며, 시청자들이 더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주제를 접할 수 있게 합니다. 유머, 패션, 맛집, 동물, 뉴스 등 다양한 주제가 포함되며, 이는 시청자들의 관심사에 맞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맛집·음식 관련 콘텐츠는 인기를 끌며 작년 대비 시청률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비교 항목 전통적인 미디어 소비 숏폼 콘텐츠 소비
평균 시청 시간 상대적으로 길며 30분에서 몇 시간까지 가능 짧고 집중적인 15초에서 1분 내외
콘텐츠 형태 드라마, 영화, 다큐멘터리, 긴 영상 콘텐츠 짧은 비디오, 유머, 챌린지, 정보성 클립
주요 플랫폼 TV,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참여 방식 주로 수동적인 시청 적극적인 참여 (좋아요, 댓글, 챌린지 참여)
알고리즘 영향 개인화는 있지만 제한적 고도의 개인화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춤
콘텐츠 제작자 전문 제작자 (방송사, 영화 제작사) 일반 사용자부터 인플루언서, 전문 크리에이터까지
유행 및 트렌드 전파 속도 상대적으로 느림 매우 빠르고 즉각적 (바이럴 콘텐츠의 탄생)
콘텐츠의 다양성 특정 장르 중심 다양한 장르와 창의적인 콘텐츠 (패션, 교육, 뉴스 등)
세대별 선호 중장년층 및 전통적인 소비자 선호 젊은 세대, Z세대 및 밀레니얼 세대 선호
소비 패턴 정해진 시간대에 시청 언제 어디서나 빠르게 소비할 수 있는 패턴

숏폼 열풍, SNS 이용 시간과 콘텐츠 카테고리를 바꾸다

숏폼 콘텐츠는 SNS 이용자들의 콘텐츠 소비 시간과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시청하는 주제가 유머·개그에서 맛집과 음식 등으로 다양화되었으며, 유튜브와 틱톡 역시 유사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는 SNS 플랫폼들이 어떻게 변화하는 사용자 선호도에 맞춰 콘텐츠와 전략을 조정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결론

2024년에도 숏폼 콘텐츠는 SNS 이용자들의 관심을 끌며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는 각자의 특성과 강점을 바탕으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이러한 경쟁은 사용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숏폼 콘텐츠의 성장은 앞으로도 플랫폼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