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요금제에서 12개월 약정- 6개월 차 해지 시 최대 10만원 위약금, 24개월 약정-12개월 차 해지 시 최대 20만원 위약금 발생
이동통신사는 24개월 약정을 통해 장기적으로 고객을 묶어두려는 목적, 24개월 약정은 통신사에 유리
우리는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입할 때, 대부분 약정 기간을 선택해야 합니다. 12개월, 24개월, 또는 그 이상. 그런데 혹시 24개월 약정을 선택하면서 손해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이동통신사의 선택약정 할인제도가 어떻게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설계되어 있는지, 특히 24개월 약정이 어떤 함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선택약정 할인제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이 제도는 단말기 구입 지원금을 받지 않고, 대신 월정액 요금을 25% 할인받는 방식입니다. 12개월 또는 24개월 약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할인율은 동일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할인율이 같으니 24개월 약정을 선택하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중도해지 시 발생하는 위약금입니다. 12개월 약정과 24개월 약정의 할인율이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24개월 약정을 해지할 경우 훨씬 더 큰 위약금이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5G 요금제에서 12개월 약정의 경우, 6개월 차 해지 시 최대 10만 원의 위약금이 발생합니다.
반면, 24개월 약정은 12개월 차에 해지할 경우 최대 20만 원의 위약금이 발생합니다.
즉, 12개월 약정은 절반만 지나면 위약금이 사라지지만, 24개월 약정은 기간이 절반이 지나도 여전히 큰 위약금을 부담하게 됩니다.
이동통신사는 24개월 약정을 통해 장기적으로 고객을 묶어두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약정이 길수록 이통사는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24개월 약정이 통신사에 유리합니다. 하지만 소비자는 장기 약정으로 인해 더 큰 위약금 부담을 떠안게 됩니다.
24개월 약정은 겉으로 보면 동일한 할인율에 장기적으로 혜택을 받을 것처럼 보이지만, 중도해지 시 더 큰 금전적 손해를 감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약정 기간이 길수록 불리한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국회에서도 이런 문제점을 지적하며, 24개월 약정의 혜택을 늘리거나 위약금을 줄이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24개월 약정은 통신사에만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12개월 약정과 혜택은 동일하지만, 중도해지 시 소비자에게 큰 부담을 지우고 있는 만큼, 이동통신 약정 제도의 합리적인 개편이 필요합니다. 약정 기간에 따른 정당한 혜택과 위약금 부담 완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장기 약정의 숨겨진 함정을 꼭 고려하시고,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이 문제를 인식하고, 합리적인 약정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