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제공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보제공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 4차산업혁명
      • 라이프스타일
      • 경제와 재테크
      • 커리어와 업무스킬
      • 문화와 역사

    검색 레이어

    정보제공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15편) 구축 산출물2: 단위/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법 알아보기

      2024.04.16 by 늦둥이아빠

    • (14편) 구축 산출물1: 단위, 통합, 인수 테스트 계획서 작성법 알아보기

      2024.04.15 by 늦둥이아빠

    • (13편) 설계 산출물6: 데이터 이관 작성법 및 가장 중요한 리스크 알아보기

      2024.04.14 by 늦둥이아빠

    • 브롤스타즈 베테랑 광부 다이너마이크의 스킨, 가젯, 스타파워 알아보기

      2024.04.13 by 늦둥이아빠

    • 브롤스타즈 스타파크 광장의 미스터리 R-T의 스킨, 기어, 가젯, 스타파워 알아보기

      2024.04.12 by 늦둥이아빠

    • (12편) 설계 산출물5: ERD 및 테이블 정의서 작성법 알아보기

      2024.04.11 by 늦둥이아빠

    • (11편) 설계 산출물4: 인터페이스 정의서 및 설계서 작성법 알아보기

      2024.04.10 by 늦둥이아빠

    • (10편) 설계 산출물3: 프로그램 목록, 프로그램 명세서 작성법 알아보기

      2024.04.09 by 늦둥이아빠

    (15편) 구축 산출물2: 단위/통합테스트 시나리오 작성법 알아보기

    14편에서는 단위테스트, 통합테스트 계획서를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왔습니다. 그 연장선상에 보면 다음으로 작성하는 것이 바로 단위테스트 및 통합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목적은 시스템의 기능 검증, 예상되는 결과가 정확하게 반환되는지, 결함발견, 테스트의 재사용성 그리고 문서화, 품질향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단위테스트 시나리오 및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법과 차이점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위테스트는 단위 모듈이나 컴포넌트를 개별적으로 테스트하는 것입니다 단위 테스트(Unit Test)를 유닛 테스트라고도 합니다. 단위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가장 작은 단위인 모듈 또는 컴포넌트를 개별적으로 검사하는 테스트입니다. 예를 들어, 행복재단 ..

    카테고리 없음 2024. 4. 16. 09:52

    (14편) 구축 산출물1: 단위, 통합, 인수 테스트 계획서 작성법 알아보기

    테스트 계획서는 구축의 총괄적인 테스트 전략과 프로젝트 기간 중에 수행될 모든 테스트 활동의 범위, 절차, 요구되는 계획 일정에 대하여 기술하는 문서입니다. 테스트 계획서 작성의 목적은 시스템 검증, 결함발견, 기능 중심의 컴포넌트 테스트와 통합테스트, 통합테스트를 통해 분석단계에서 도출한 현업요구사항 및 설계 사양을 시스템이 만족하는지를 검증합니다. 또한 연계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검증합니다. 오늘은 테스트 종류, 테스트 조직 및 역할, 테스트 절차 및 통합테스트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개요 다음은 행복재단에 그룹웨어를 납품하여 테스트한다는 가정하에 작성된 내용입니다. 전제 사항 첫째, 시스템 개발 범위(scope)에 큰 변동이 없는 것을 가..

    카테고리 없음 2024. 4. 15. 09:29

    (13편) 설계 산출물6: 데이터 이관 작성법 및 가장 중요한 리스크 알아보기

    데이터 이관 계획서는 설계 산출물 중 가장 마지막에 작성합니다. 기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DB, 파일 형태에 따라 이관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대부분 데이터 정제와 고객요구사항 그리고 자료에 대한 검증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면 경우가 있습니다. 권한 문제입니다. 권한이 잘못 설정되면 암호문서, 비밀문서가 풀리는 사태가 발생하고, 비공개 문서가 공개되어 모든 사람이 보게 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존 시스템에서 신규 시스템으로 어떻게 이관하고, 자료 검증 시 가장 놓치기 쉬운 권한 문제를 다뤄볼까 합니다. 데이터 이관 이해하기 데이터 이관 기존 시스템에서 신규 시스템으로 DB와 파일을 이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4. 4. 14. 09:32

    브롤스타즈 베테랑 광부 다이너마이크의 스킨, 가젯, 스타파워 알아보기

    브롤스타즈 팬 여러분! 오늘은 광산을 조사하고 폭발물을 터뜨리는 재미로 사는 베테랑 광부 다이너마이크의 모든 것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이너마이크는 폭발물을 터뜨리는 것을 무척 좋아 하지요. 또, 광부 차림을 하고, 등 뒤에 폭발물이 달려 있습니다. 공격 시 2개의 폭발물을 적을 향해 던집니다. 1개의 폭탄을 맞을때와 2개의 폭탄을 맞을때의 피해는 역시나 2개의 폭발물이 2배더 데미지를 입힙니다. 승리 시 몸을 흔들며 춤추며 모자 안의 카나리아와 대머리가 보이고, 패배 시 분개하여 다이너마이트를 내동댕이치며 애니메이션 업데이트로 더 생생한 패배 모션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런 다이너마이크의 특징을 알아보고, 게임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킨 셰프마이크 (SPICYMIKE) ..

    카테고리 없음 2024. 4. 13. 09:17

    브롤스타즈 스타파크 광장의 미스터리 R-T의 스킨, 기어, 가젯, 스타파워 알아보기

    브롤스타즈 팬 여러분! 오늘은 스타파크 광장의 미스터리 R-T의 모든 것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R-T장점으로는 높은 체력과 광범위한 사거리로 안정적인 플레이를 제공하며, 특수 공격을 통해 상대에게 엄청난 대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모드에서 활약 가능하며, 특히 표식 매커니즘으로 아군의 킬 결정력을 높이고 상대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가젯과의 조합으로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R-T의 단점으로는 사거리는 길지만 좌우 판정이 좁아 조준이 어렵고, 딜레이가 심해 적을 완전히 처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기동성이 낮아 폭딜러에 취약하며, 특수기 사용 시 리스크가 크고 팀 의존도가 높아 협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단점들은 특히 랜덤 매치나 하위권에서 두드러집니..

    카테고리 없음 2024. 4. 12. 09:06

    (12편) 설계 산출물5: ERD 및 테이블 정의서 작성법 알아보기

    설계 산출물 중 가장 마지막에 작성하는 ERD와 테이블 정의서는 전체적인 데이터의 흐름을 정의하고, 각각의 데이터 흐름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를 나타내는 문서입니다. ERD 및 테이블 정의서는 사용하는 DBMS에 따라 추출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오늘은 ERD와 테이블정의서의 실제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ERD(Entity Relation Diagram)이란 개체-관계 모델, 테이블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DB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API를 효율적을 뽑아내기 위한 모델 구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ERD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보다는 프로젝트 산출물 관점에서 산출물을 어떻게 뽑아야 되는지에 대해 초점을 ..

    카테고리 없음 2024. 4. 11. 09:42

    (11편) 설계 산출물4: 인터페이스 정의서 및 설계서 작성법 알아보기

    인터페이스설계서와 프로그램명세서는 개발자가 작성해야 하는 산출물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문서를 분석/설계자가 기본적인 작성을 할 수 있으나, 최종 정확한 내용의 정의는 실제 개발한 내역을 바탕으로 상세 내용이 수정되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개발자가 작성한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입니다. 오늘은 이 기종 시스템 또는 다른 솔루션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한 여러가지 방식들에 대한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요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이기종 시스템이나 솔루션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한 목적으로 각 시스템의 교환 데이터의 업무, 송수신 주체, 제약사항, 화면 그리고 처리 로직을 설명한 문서입니다. 인터페이스의 종류에는 인터페이스 정의서와 인터페이스 설계서가 ..

    카테고리 없음 2024. 4. 10. 09:29

    (10편) 설계 산출물3: 프로그램 목록, 프로그램 명세서 작성법 알아보기

    프로젝트 목록 및 명세서는 화면 설계가 끝나면 작성하는 산출물입니다. 프로그램 목록은 프로그램ID, 프로그램 명 등을 작성하며, 프로그램 명세서는 프로그램 목록에 정의된 프로그램 명에 맞게 개요 및 처리 로직을 작성합니다. 가끔 기능명세서와 프로그램명세서를 혼동하는 분들이 있어 차이점과 프로그램 목록과 프로그램명세서의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램 목록 작성하기 화면 설계서의 화면ID와 프로그램 ID를 매핑하여 프로그램 목록을 정리합니다. 프로그램 목록은 프로그램ID, 프로그램 명, 프로그램설명, 관련 테이블을 정리하여 작성합니다. 프로그램 목록은 화면설계서와 인터페이스설계서 등을 보고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명세서 작성하기 프로그램 명세서는 프로그램 목록에 따라 프로그..

    카테고리 없음 2024. 4. 9. 09:2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152
    다음
    TISTORY
    정보제공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