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구축 방안은 도입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장비의 제안 선정 사유와 어떻게 시스템이 구성되는지와 기능 요구사항의 경우 커스터마이징에 따른 구현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이런 시스템 구축 방안과 기능 요구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FP상 고객사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무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시스템 구성도를 설계하여야 합니다. 단순히 규격에 맞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네트워크 환경, 보안 환경, 업무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적의 서비스 방안을 제시합니다.
기존 장비를 활용할 경우 기존 장비 활용되는 부분이 어느 부분이고, 신규 도입은 어디 인지 표현이 필요하며, 이중화 여부, 도입 사양이 부각되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또한, 납품 목록의 경우도 본 사업의 제시한 목록 외에 추가 제안이 있다면 이런 부분은 강조가 필요합니다.
기능 요구사항 작성 헤드라인은 2~3줄로 핵심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합니다. 그리고, 기능요구사항번호를 기술하고, 그 요구사항을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해 요약하여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작성합니다. Key Message는 이것만 보더라도 이 장에서 무엇을 말하는지 알 수 있도록 작성합니다. 본문 내용은 통합검색과 연계된 대상 시스템은 무엇이고, 통합검색 화면에 어떻게 표현해 줄것인지 구체적으로 기술합니다. 이런 기술적인 내용들은 개발자나 PM이 검토하도록 해서 신뢰성이 검증되어야 합니다. 이런 내용은 많이 쓴다고 의미 있는 것이 아니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설명된 내용으로 기술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시스템 구축 방안 및 기능 요구사항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왔습니다.
시스템 구축 방안은 선정 사유, 구성 방안, 납품 목록에 대해 두리 뭉실한 내용은 신뢰성이 떨어지게 함으로 명확하고 구체적인 설명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기능요구사항 역시 RFP에서 제시하는 SFR 내용에 부합하는 제안사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구현 방안이 기술되어야 합니다.
시스템 구축 방안 및 기능 요구 사항은 아주 기술적인 부분이며, 고객사 IT 운영 환경에 어떻게 적용되어 운영되고, 어떤 근거로 제시하였고, 커스터마이징 기능은 어떻게 구현될지에 대해 기술적인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작성을 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그런 의미에서 수행PM이나 개발자 그룹에서 작성하거나 최종 검토가 되어야 합니다.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사람이 없다는 핑계로 검토가 안된 상태로 제안서가 제출되면 재앙이 될 수 있음을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제안서 작성법, 전략, 발표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8편) 제안서 작성법 : 컨텐츠 구조화 방법 및 제안 작성 팁(파워포인트 단축키)
(7편) 제안서 작성법: 목차 구성, 템플릿 개발, 세부 작성법
(6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경쟁사 대비 차별화 및 가격 전략
(5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1등 기업과 2등 기업 전략
(4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제안요청서의 구성 및 평가기준 파악하기
(3편) 제안서란 무엇인가? 제안PM 및 담당자별 역할, 협업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