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관리 및 지원 부문의 핵심은 사업 수행 조직, 추진 일정계획, 방법론, 유지보수 방안, 기타 지원 방안이며, 여기서도 사업 수행 조직의 구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관련분야 유사 경험인력으로 구성할 경우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이는 제안 전략의 상세한 Action Plan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제안서 작성 끝부분에 해당하는 사업관리 부문 및 지원 부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안 전략의 세부 전략으로 본 사업 PM의 구축 경험 및 프로젝트 수행 능력은 매우 중요한 전략입니다. 따라서, 본 사업 PM의 구축 경험 증명을 위한 투입 사이트를 기술하고, 구축 경험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구체적인 수치를 작성하여 관리능력을 강조하여야 합니다.
프로젝트 관리자 보유 역량을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투입 사이트에서 어떤 부분을 수행했는지를 구체적으로 표현해 주면 좀 더 PM의 사업 수행 능력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추진일정 계획은 업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 마일스톤이 상세하게 표현되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본 사업에 참여할 수행PM이 작성하거나 검증을 하는 부분입니다. 또한 시스템 구축 후 안정화 단계의 일정과 인력도 어떻게 투입할지 본사와 미리 협의를 해야 합니다. 최근 프로젝트는 안정화 단계에서 참여인력을 대부분 있는 상태에서 안정화를 하는 경향이 있어 공수 산정 시 반드시 감안을 하셔야 합니다. 감안이 안될 경우 프로젝트가 적자를 볼 수 있어 각별히 주의를 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수행 시 공정별 산출물이 너무 많거나 솔루션 기업으로서는 도저히 줄 수 없는 산출물은 추후 협의사항으로 남겨 두어야 합니다. 감사를 해야 하는 프로젝트인 경우 감사 시 문제가 되어 무조건 제출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기술협상 때 미리 주관기관과 협의를 해서 정리를 해야 합니다. 솔루션 기업의 경우 소스 제공이나 전체 테이블 목록 같은 경우는 제출하기 곤란한 여지가 있기 때문에 사전에 회사와 어떻게 할 것인지 여부도 논의를 해야 합니다.
사업관리 및 품질관리는 품질관리전문가를 투입해야 합니다. 실제 투입율은 미미하지만, 전체적인 이슈나 문제해결능력이 뛰어난 인력을 투입하여 프로젝트의 신뢰성을 높여야 합니다.
무상 하자보수 기간을 명확히 기술하고, 유상 유지보수에 대한 내역을 기술합니다. 또한 구축시스템별 지원 내용과 지원방법에 대해 명확히 기술해 주어야 합니다.
기타 지원부문을 읽다 보면 알맹이 없는 방법론만 작성되어 있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교육훈련, 예방 및 장애관리, 기술지원방안, 기밀보안 방안에 대해 작성할 때 어떻게 해 줄 것인지에 대해 쓰지 않고 방법론과 원칙만 많이 쓴다던가 하면 알맹이 없는 제안서가 되고 말 것입니다. 너무 원론적인 내용만 쓰게 되면 정작 고객은 우리한테 무엇을 해 주겠다는 것인지 알 수 없어,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제안서가 되어 버리니, 이 점을 유의하여 작성하셨으면 합니다.
프로젝트 사업관리 및 지원 부문은 제안서에서 중요도가 높지 않아 기존 제안서를 가져다가 그대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다 보니 잘못 들어간 내용이 있거나 본 사업과 맞지 않은 제안 내용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검토를 통해 항상 수정을 하셔야 할 부분입니다.
하지만, 사업관리 및 지원 부문 또한 제안전략의 Action Plan의 요소이며, 소흘히 다룰 수 있는 부문은 아닙니다. 본 사업의 PM의 사업 수행 역량과 실적, 추진 일정의 주요 마일스톤의 구체화, 산출물의 적절성 그리고 교육, 기술지원, 유지보수, 기밀유지 방안 등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수용여부를 잘 검토하여 작성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제안서 작성 끝부분에 해당하는 사업관리 부문 및 지원 부문에 대해 알아보왔습니다.
제안서 작성법, 전략, 발표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11편) 제안서 작성법: 시스템 구축 방안 및 기능 요구사항
(8편) 제안서 작성법 : 컨텐츠 구조화 방법 및 제안 작성 팁(파워포인트 단축키)
(7편) 제안서 작성법: 목차 구성, 템플릿 개발, 세부 작성법
(6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경쟁사 대비 차별화 및 가격 전략
(5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1등 기업과 2등 기업 전략
(4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제안요청서의 구성 및 평가기준 파악하기
(3편) 제안서란 무엇인가? 제안PM 및 담당자별 역할, 협업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