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업무 회의가 확대 대면서 제안 발표 또한 온라인 화상 평가로 전환되어, 이제는 대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제안 발표를 준비하는 기본 절차는 비슷하지만, 제안 발표 업체의 사뭇 다르게 전개 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의 장점을 확실히 이용하여 좀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 입니다. 지금은 널리 퍼진 방식이지만, 아직도 온라인을 통해 제품 소개나 데모 시연 그리고 질의응답 등에 익숙하지 않는 분들을 위해 저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줌을 이용한 온라인 제안 발표와 정부 e-발주시스템 화상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제안평가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줌(Zoom)을 이용하여 온라인 제안 발표의 과정 또한 오프라인에서 하는 대면 제안 발표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제안 발표와 데모 시연 그리고 질의 응답 모두 동일하게 평가를 합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회의에 참가할 수 있는 URL 링크를 보내 오면 회의 시작 10분전 입장하여 대기하다가 진행자의 안내에 따라 시작하면 됩니다. 나머지 진행과정은 오프라인과 똑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줌(ZOOM)를 활용한 실제 제안 발표 진행 절차를 예시화한 화면입니다.
코로나-19 이후 공공기관 사업을 수주하려면 조달청 나라장터(https://www.g2b.go.kr/index.jsp)를 통해 입찰을 진행하고, 제안평가는 e-발주시스템 화상회의로도 많이 하고 있어 이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반적인 화상평가상태에 대해 알아보려면 평가진행상태 탭을 눌러 확인하면 됩니다. 평가 사전준비 현황 등을 조회하면 됩니다. 평가위원 준비 및 평가현황을 보시면 위원들의 준비 단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줌을 이용한 온라인 제안 발표와 정부 e-발주시스템 화상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제안평가에 대해 알아보왔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앞당긴 비대면 사회가 이제는 정착되어 가고 있습니다. 온라인 수업은 물론 기업의 제안발표 그리고 공공 입찰까지 온라인 시대가 성큼 도래를 하였습니다. 이런 온라인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화상회의 전용 회의실도 꾸미고, 제안 발표에 최적화된 환경도 조성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이에 가장 대표적인 줌(ZOOM) 회의와 e-발주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것 같습니다. 아직 온라인 제안 발표나 경험이 없으시면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제안서 작성법, 전략, 발표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14편) 제안서 작성법: 제안서를 잘 쓰는 조직 만들기
(12편) 제안서 작성법: 사업관리 부문 및 지원 부문 작성하기
(11편) 제안서 작성법: 시스템 구축 방안 및 기능 요구사항
(8편) 제안서 작성법 : 컨텐츠 구조화 방법 및 제안 작성 팁(파워포인트 단축키)
(7편) 제안서 작성법: 목차 구성, 템플릿 개발, 세부 작성법
(6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경쟁사 대비 차별화 및 가격 전략
(5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1등 기업과 2등 기업 전략
(4편) 제안서 작성의 전략 및 전술? 제안요청서의 구성 및 평가기준 파악하기
(3편) 제안서란 무엇인가? 제안PM 및 담당자별 역할, 협업 이해하기